암호화폐의 다음 행보와 스팀이 나아가야 할 길

암호화폐의 침체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 암호화폐 거래 인정과 산업분류 기준 발표 계획과 ICO 허용 루머와 같은 긍정적인 분위기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다행스럽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낀 암호화폐에 대한 정부기관측의 변화는 "블록체인"이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쓰고 있다는 점입니다. 불과 1, 2년 전만 하더라도 블록체인이라는 표현을 쓰면 그게 뭐냐고 하거나 사기 아니냐는 반응이 주였는데 이제는 관료사회 내부에까지 블록체인이라는 개념이 익숙해졌다는 방증입니다. 이런 내부적인 인식 변화는 암호화폐 관련 정책결정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정부기관이 이 정도이니 기업은 말할 여지도 없습니다. 수십 수백 개의 블록체인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고, 수많은 리버스ReverseICO (기존 기업이 서비스의 일부 혹은 전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환하면서 진행하는 ICO)들이 준비중입니다. 아마 기업들 그리고 벤처캐피탈(VC)들이 블록체인에 들어오기 위한 준비는 상당 부분 진행되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단 하나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암호화폐에 대한 회계처리입니다.

암호화폐가 회계처리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기업이 암호화폐를 사도 세금이나 기타 제도적인 부분들에 있어서 커대란 불확실성을 안고 갈 수 밖에 없다는 의미입니다. 작은 스타트업 수준의 기업이야 그 정도의 위험은 감수할 수 있겠지만, 이미 자리를 잡고 있는 중견기업 이상에서는 이러한 위험을 감안하면서까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도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기에 아무리 많은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들어올 준비를 하고 있더라도 암호회폐에 대한 회계처리 부분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실제로 들어오는 자산은 미미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최근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발행한 ICO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도 잘 드러나 있습니다.

ICO 도입을 위한 전제조건은 ICO에서 모집되는 코인이나 토큰을 어떻게 법적으로 정의하느냐의 문제와 직결됨

가상통화에 대한 법적 성격을 명확히 하는 것이 ICO의 선결과제가 될 것이며,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ICO로 인해 창출되는 토큰을 별도의 증권으로 특정지어 ICO를 기존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 형태로 포섭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임

서두에 말씀드린 ICO 허용 루머로 다시 돌아가보죠. 만약 이번에 나온 ICO 허용 루머가 사실이라면 그 말은 단순히 ICO가 큰 문제 없어보이니 일단 대충이나마 허용해보자 정도가 아닙니다. 정부의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수준 이르른 상태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ICO 허용이라는 얘기는 곧 그 선결과제인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성격이 제도화될만큼 확립되었다는 의미입니다. 곧 기존 기업들이 합법적으로 암호화폐를 보유(ICO를 통해서든 매수를 통해서든)할 수 있다는 의미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암호화폐의 본격적인 부흥기로 이어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스팀이 가야할 길은 무엇일까요? 아마도 기존 기업들 중 많은 곳들이 스팀과 경쟁하기 위해서 유사한 체인을 만들 가능성이 있고, 아마 스팀 코드 자체를 복제하는 아류작도 나올 것입니다. 이 때 스팀이 가질 수 있는 한 가지 경쟁력은 커뮤니티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에 대한 오랜 경험을 가지고 있는 개발진과 토큰 이코노미를 깊히 경험하고 그 장단을 다 알고 있는 기존 이용자들이죠. 하지만 이것은 경쟁력의 기반일 뿐입니다.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접목함으로써 법정화폐 시스템에서 스팀의 토큰 이코노미 시스템으로 돈을 끌어오는 수로를 뚫어줄 여러 서비스가 실제적인 경쟁력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다행히도 스팀은 이런 부분을 위한 각종 개발(스팀커넥트나 확장성 있는 API 등)이 잘 갖춰져있고 더 잘 갖춰지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테이스팀이나 스팀헌트 같은 서비스도 나오고 있고요. 제가 알기로 이러한 서비스들은 외부 자금을 끌어올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한 서비스들이 수십 개 이상 나와준다면 스팀은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주자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사용자 확충, 즉 가입 문제입니다. 이 부분은 고팍스와 오버노드 등이 스팀잇 측과 협력하며 진행중인 것으로 압니다. 국내에서 스팀을 이용하는 사람(봇이나 부계정 제외)이 100만명을 넘어선다면 스팀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지난번 증인 보고서에서 엑셀러레이션을 지원하는 쪽으로 스파임대를 집중하겠다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말씀드렸습니다. 관련해서 조금 더 구체적인 계획을 말씀드리자면 비즈니스를 시작하시기 위해 스파임대가 필요한 스타트업 분들이 계시다면 clayop@clayop.com 으로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기존 개인 큐레이터 분들에게 드렸던 스파 임대는 점차적으로 회수할 계획입니다. 이것 외에도 스팀을 위한 공간이나 인큐베이션 등 여러 계획을 진행하고 있는데 때가 되면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3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