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는 아들러 심리학을 플라톤의 ‘대화편’의 형식을 빌려
철학자와 청년의 대화를 서술한 책이다.
(정확히 얘기하자면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심리학을…이라고 해야겠지만…)
여기서 청년은 현대인의 찐따(??)적인 모습의 집합체의 느낌이다.
아들러의 심리학을 접한 건 이번이 처음인 거 같다.
여기서 같다라고 느끼는 건 아들러의 심리학에서 말하는 내용이 인터넷이나 책 등에서 떠돌고 있는
힐링과 관련된 내용과 굉장히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인데
그래서인지 가독성은 굉장히 좋은 책이다.
하지만 이 책의 내용에 공감하느냐에 대해선 사람마다 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들러의 심리학은 여러모로 옳은 얘기를 한다. 이론상으론 반박할 내용이 없는...
마치 종교적인…이상적인 얘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그렇기 때문에
머리로는 받아들일 수 있을지 몰라도 가슴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선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책으로 아들러 심리학을 접하면서 금수저 심리학이라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아들러는
꽤나 금수저스러운 생활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느낄 수 있는 부분은 책 초반에 나오는 트라우마를 얘기할 수 있을 거 같다.
아들러는 트라우마 같은 건 없다고 단정했다.
아들러의 심리학은 원인론을 얘기하는 것이 아닌 목표지향(?)적인 관점에서 얘기하기 때문이다.
(과거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현재이다….-현재가 중요하다면 미래 또한 중요한…)
아들러의 심리학을 대체로 받아들이면서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 있다. 트라우마가 그것이다.
이 책에서 청년이 얘기하는 트라우마는 나 또한 받아들일 수가 없긴 했다.
하지만 청년이 얘기하는 트라우마가 과연 트라우마 일까 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 청년이 얘기하는 트라우마란 내가 이 모습이 이 성격이 된 데에는
이런 트라우마가 있다(가족의 비교, 무시, 압박 등) 라는 식의 얘기다.
이걸 가지고 트라우마라고 얘기할 순 있다.(물론 처음 충격(심리적외상)에 대해선…)
하지만 청년의 모습은 이러한 과거를 이용해서 현재의 자기 모습에 대해 핑계를 댈 뿐이다.
과연 이것을 트라우마 라고 얘기할 수 있을까??
(트라우마 - [의학] 재해를 당한 뒤에 생기는 비정상적인 심리적 반응 (다음 출처))
트라우마라는건 PTSD(외상 후 스트레스)와 비슷하다.
(여기서 비슷하다는 건 이 둘에 대해 봤지만 구분하기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PTSD환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청년이 하는 얘기를 트라우마라고 보기엔 힘들지도 모른다.
(PTSD환자 중 참전군인이 있는데 이 사람은 폭죽소리를 듣고 지하철 어느 한 구석에서 귀를 막고 움츠려 있다.
폭죽소리에 대해서 반응을 한 것 인데 문제는 이 사람은 지금 상황에 대해서 명확히 알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 들리는 소리는 폭죽소리이고 지금 있는 곳은 안전한 도시이며 이 공간은 환희와 즐거움이 차 있는 공간 이라는 것을…)
심리적 외상을 겪었던 상황(혹은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머리로는 알면서도 어쩌지 못하는 것을 트라우마 라고 했을 때
이 청년이 얘기하는 것은 단순한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참전군인이 겪은 트라우마를 보고 아들러 심리학에 빗대어 트라우마 같은 건 없다고 얘기할 수 있을까??
단순히 자기가 겪어보지 못해서(금수저이기 때문에…) 없다라고 단정지을 수 있을까?
그거야말로 지금 시대에서 꼰대들이 들이대는 논리와 뭐가 다를까?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많은 생각을 했다. 특히 트라우마에 관련해서...
정말 아들러는 트라우마 같은건 없다고 생각했을까…물론 아들러의 생각을 알 순 없겠지만
나는 아들러 또한 트라우마는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아들러가 얘기하고 싶었던 건
트라우마는 있지만 이기지 못할 트라우마는 없다!!! 라고 얘기하고 싶었던 건 아니었을까 라고 생각해본다.)
이 트라우마를 뺀 나머지 얘기에 대해선 크게 얘기할 건 없지 않을까 싶다.
너무나도 뻔한 얘기고 당연한 얘기들 뿐이다.
(자기수용이나 과제분리, 현재를 살아라 등과 같은 얘기)
다만 자기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세계는 달라진다 라는 얘기는(이것 또한 당연하다싶이 한 내용이지만)
머리속에 좀 더 남는 거 같다.
이 얘기는 원효대사 해골물과 같은 얘기라고 생각한다.
일체유심조(모든 것은 마음으로부터 시작한다.)에서처럼 어떤 상황이든 마음먹기에 따라 달라진다.
라는 것….알고 있으면서 다시 한번 되새기는 기회가 된 거 같다.
(이 외에 말했듯 과제분리 또한…-과제분리는 사람들간의 거리와 어느정도 일체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고슴도치의 딜레마와 같이….)
아들러의 심리학이라고 특이하거나 획기적인 내용은 없다.
(지금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로서는…그 시대엔 어땠는지 몰라도)
다만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까지 인터넷 등에서 봐왔던 명언이나 힐링에 관련된 내용들…
이런 떠도는 내용들에 대해서 정리가 된 느낌을 받았다.
아들러가 얘기하는 내용이 나한테 100% 받아들여지진 않았다.
아들러의 심리학은 마치 종교적이고 이성적인 말로만 그럴싸한 이상적인 얘기일 뿐이다…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대로 된다면 행복해지겠지라곤 생각하지만…-청년이 철학자와 대화하면서 느낀 감정과 비슷한 거 같다.)
저자가 얘기하듯 이치로의 해석이 담긴 아들러의 심리학처럼
이 책의 내용 또한 자기 나름대로 해석을 달아서 읽으면 될 것 같다.
(다만 그것이 아들러심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든…없든…마치 뻔한 힐링도서를 읽고 감명받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물론 자기 해석을 달지 않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받아들였으면 하는 내용도 있다.
(과제분리가 특히!!…)
처음 읽으면서 굉장히 반발심이 들었다.(트라우마 때문에 특히)
하지만 다 읽고 계속 생각을 해봤는데 마치 이 심리학을 받아들이는 모습이
책 속에 나오는 청년의 자세와 비슷했다고 생각한다.(비판 후의 수용 - 물론 난 완전히 받아들이진 않았다.)
아직도 모르겠다. 이론상으로만 얘기한 이 심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이대로만 된다면 행복하겠지 하지만 이게 맘처럼 쉽게 되는건가?
…하지만 적어도 이 얘기대로 살아간다면 아주 괜찮다고 생각한다.
아들러의 말처럼 키네시스적(목표지향적)인 게 아닌 에네르게이아적(과정지향적)으로...
하지만 에네르게이아적인 모습에서 계획이라는 것을 조금 첨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