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Gadventures
몇일전 동양 사회 현상 내용을 다루는 Al Jazeera의 한국 술문화에 관한 다큐를 보았습니다. 한국은 음주량이 세계 1위였고, Al Jazeera는 과도한 업무량, 값싼 술 값, 아이돌을 모델로 하는 소주 회사의 마케팅, 또 24시간 구매 가능한 점 등
주요 이유라 했습니다. 이 비디오는 4.8억의 뷰가 있습니다.
맞는 이유들 입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불편했습니다.
“한국사람은 회사 일이 많고 스트레스를 받아서, 또 소주 값이 싸서 항상 음주를 한다”
그렇게 단순한 이유는 아닌것 같습니다.
마치, 러시아인들은 왜 술을 많이 마실까? 물었을 때
“날씨가 춥고 우울한 날들이 많아서” / “보드카 값이 싸서”
같은 대답은 진정 러시아 문화를 표현하고자 하는 사람의 답변이 아니듯이요.
"~을/를 위하여!"
source: Luckyrice
저는 교포로서 경험에서 한국 술자리에서 특이했던 것은 “위하여” 를 함께 외치는 것이었습니다. 처음에 생각했습니다. “도대체 무엇을 위하는 것이지?” “무엇인데 함께 위해야 하는 것인지?”
건배
가 Cheers같이 술잔을 부딪히기 위해 말하는 단어이지만,
위하여
는 그것보다 깊은 의미가 들어있는 것 같았습니다…
함께 무엇을 위하고 외치는 문화
이제는 조금 이해가 갑니다. 한편 한국인 아닌 인종의 술자리 참여가 힘든 이유도 이해 갑니다. 함께 술을 마셔도, 함께 무엇인가를 위하는 유대적 감정이나, “정” 같은 감정이 깊게 통하지 않아서 인것 같습니다.
미국인들이 술자리를 갖을 때는 상대방과 굿타임을 보내기 위해서가 대부분입니다. 서로 대화를 나누고, 특정 토픽 토론을 하며 술을 마십니다. 술을 마시며 깊은 속얘기를 하거나 확실히 한국 같은 “감정의 공유 / 유대감 확립”은 적습니다.
사회적 패턴의 이해
Source: CNN
한 사회 집단의 특정 행동을 이해하려면 그 역사, 현대 사회와 문화를 잘 알아야 하지요. 통찰 없이 피상적이게 현상만을 바라보고 팩트로 전달한다던가, 해결책을 찾으려는 것은 좋은 접근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인이 과음하는 이유를 단지 과도한 업무량, 싼 소주값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일차적 입니다. 또한 회식을 없애자, 술을 끊자는 것은 직접적인 해결책 제안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유대감이나 소속감을 술자리 외의 다른것을 통해 더 강하게 공유하는 방법이 보편화 된다면,
과음이 적어지는 사회가 될 수 있을지...
그 한이 끝나는 날, 술을 덜 마실 수 있다는 농담도 들었습니다 ㅎㅎ...
어찌되었던 음주의 이유를 업무의 스트레스에서만 찾을 수 없는것은 분명합니다.
건강한 술자리 문화를 만들기 위해, 한국의 역사, 문화, 정서를 어디서 부터 이해하면 가장 좋을까요?
--
한국 음식 문화가 널리 알려지는 만큼, 한국의 술을 담그고 마시는 방법을 배우고 싶어하는 외국인이 많습니다. 그 역사와 문화적인 이유를 알고, 또 사회적 현상을 잘 이해해서, 우리나라 문화를 진정으로 전달하고 알릴 수 있으면 합니다.
저의 글은 한국말을 잘 하는 와이프께서 감수했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