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애쓰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관광과 세계에서의 한국의 입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한류 이전 지난 시간 동안 한국은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관광객 유치가 약했습니다.
한국 방문객을 불러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세계적 타이틀을 가지는 일이었습니다. 올림픽과 월드컵을 통해 우리나라는 세상에 더 알려졌습니다. 소도시들의 유네스코 문화도시 가입도 그런 의도가 큰 것 이였습니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 DDP
지난 10년 서울시에서는 유명한 건축가들을 섭외해서 건물을 짓는 일이 많았습니다. 관광객 유치와 서울의 “가볼곳/Destination” 만들기에 목적을 둔 사업이였죠.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가 그중 하나 입니다. 건축계의 여왕으로 알려진 자하 하디드, 그녀의 디자인이었습니다.
source : ArchDaily © Virgile Simon Bertrand
실로 해외의 건축가들은 한국 방문시 DDP를 보며 "여왕님 만세" 를 외쳤습니다. 하지만 서울시에서 이 건물은 매우 논쟁이 많은 건축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울시가 자하의 빌딩을 갖기까지 무리와 희생이 있었지만 어느 정도 빚이 갚아지면 끝날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는 이 건축물이 성공적으로 지어진 이후부터 슬슬 표면에 올라오기 시작했습니다.
큰 애물단지
source: ArchDaily © Virgile Simon Bertrand
이 큰 빌딩을 과연 무엇으로, 누가, 어떻게 채울 것인가?
막상 짓고나니 안을 채우는게 이렇게 큰 과제가 될것이라는 것을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공공 프로그램을 안과 밖으로 매번 다르게 계절마다 제공해야 하며 또 거기서 수익을 내야 합니다. 사회와 문화를 위한 프로그램 조성에 투자도 유치해야 하는데...이것이 건물만큼 큰 부담과 숙제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빌딩 관리 수입이 먼저인가?
아니면 시민을 위한 동대문 프로그램 조성이 먼저인가?
평범한 일상 속 DDP를 방문했을 때, 우리가 체험하는 DDP 공간 속 프로그램은 매우 피상적인데 그칩니다.
DDP의 비싼 대관료를 감당할 수 있는 업체가 매우 적기 때문입니다.
아직 풀리지 않은 숙제 탓인지
지난 몇년간 DDP속은 서울시나 동대문의 정체성과는 관련이 적은 내용물로 차 있습니다.
유럽 명품 브랜드 쇼, 해외 브랜드 음료점, 고가의 수입 제품 편집샵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렇게 비싼 공간에 동대문을 닮은 삶은 자리하기 힘들 것입니다.
Source: Spy Magazine
source: Junggu. Seoul
DDP안을 들여다보면 서울인지 홍콩인지 분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누구를 위한 관광인가요.
빌딩 속 우리의 정체성
한 나라의 문화에 빠지고 싶다면 그 시장에 가보라는 소리가 있습니다. 동대문은 한국 정서의 일부인 곳입니다. 말솜씨 좋은 상인들과 흥정 해보려는 손님들의 대화, 때묻은 현금, 자판 넘어 식사 냄새로 가득한 곳이 바로 동대문이 아니겠습니까?
아무리 건축물이 대단해도, 그 속안의 내용이 도시와 연결될 수 없으면 멋진 서양식 껍데기가 놓인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훌륭한 건축물을 가져옴과 동시에 관광수입과 도시 발전을 기대한다면 무엇이 먼저 되어야 할까요?
겉모습에 사로잡힌 게 우리의 모습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정체성을 느끼게 하는 공간에 발길이 끊이지 않기 떄문입니다. 도시의 정체성, 디자인도 바로 그것에 뿌리를 두고 나왔으면 합니다.
DDP가 한계점을 넘어서 동대문을 가장 잘 표현하는 빌딩이 되는 날이 가까운 미래에 오길 바랍니다.
Source: Kimchee Guesthouse
저의 글을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