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 VS BTC, 승리의 여신은 누구에게?

오전엔 잠깐 흥분을 했나봅니다.

들뜨기만 하는 BTC 가격표에서 잠시 눈을 돌려 차분히 가라앉히고 미국 시장을 봅시다. 지난 2008년, 서브프라임 크라이시스 이후 버냉키의 돈 뿌리기 전략으로, 분명 경제는 살아난거 같아 보이고 있습니다.

각종지표는 호조를 표하고, 증시는 당장 코스피부터 2500을 넘네 마네 하며 고점을 갈아치우는 중이며, 부동산 가격 또한 오르고 있습니다. 미국은 고용 지표조차 4.4% 수준으로, 완전 고용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그런데, 딱 하나 모자란 것이 있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경제 성장은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을 동반합니다. 경제가 성장한다는 것은, 그만큼 가계 소비, 기업 투자, 정부 지출 등 총 수요를 끌어올린다는거죠. 그런데, 이게 없습니다. 분명 지금까지 교과서대로라면 2.5% 정도에 해당하는 인플레이션이 나타나야 하는데, 그렇지가 않았습니다.

세계 각국 은행은 딜레마에 빠집니다. 지금까지 근 10년간 아베와 버냉키를 보며 돈을 뿌려 와서, 금리를 슬슬 인상하며 긴축을 시작해야 될 때가 된 것 같은데, 인플레이션 지표만 보면 외려 디플레이션이 걱정이 되는겁니다. 인플레이션은 조절 할 수 있어요. 그러나 실질적 제로 성장에 가까워 지는 현 세계 경제 상에서 돈을 그만 풀 수는 없습니다.

왜냐면 인플레이션보다 더 통제할 수 없는게 디플레이션이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한국처럼 가계 부채가 심한 상태에서 디플레이션이 나타나면, 실질 금리 상승으로 인한 채무 상환 부담이 증가하고, 이는 부동산 등 자산 매각이 증가하며, 부동산 가격은 급격히 떨어지고... 이거 어디서 많이 본 이야기죠?

국가와 은행은 이런 현상을 두려워 합니다. 인플레이션과 달리 급격한 디플레이션은 경기가 나아지겠다는 희망조차 주지 못한 채 속절없는 파국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너무나 크니까요. 그렇다면, 아베노믹스처럼 더 돈을 풀고 더 경기를 부양해야 할까요? 문제는 확신이 서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경제학자들이 50년 넘게 신봉해 온 실업률-인플레이션의 관계 이론인 필립스 곡선 조차 붕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죠. 왜 이렇게 되었냐, 우리는 실질 임금에서 바로 그 답을 찾아야 합니다. 돈은 늘어나는데, 근로자의 소득이 증가하지 않은 것입니다. 소득이 늘지 않으면 가계소비도 적어질 수 밖에 없고, 인플레이션은 오지 않겠죠.

그렇다면 그렇게 뿌린 수많은 돈이 어디에 갔을까요?

전 그 돈들이 다 허상이라고 봅니다. 빚으로 만들어진거죠. 실제 소비자들에게 돌아가지 않고 은행 이자와 각종 부채를 메꾸는 데 돌아가고 있습니다. 부가 집중되고 있는거죠. 이는 실질 임금이 늘지 않았다는 현상과도 명쾌하게 들어맞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상승하는것 같은 경제지표'자체가 현재의 명목 화폐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금융 제도가 만든 거대한 허상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겁니다. 네. 우리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도 알고 있습니다. 열심히 일을 하고, 돈을 벌어오는 것 같은데, 돈이 없어요. 모이질 않습니다. 내가 버는 돈이 진짜 돈이 맞나?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궁극적으로는 명목 화폐가 불안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BTC 등 암호화폐라는 새로운 대안과 투자처를 찾아서 돈이 급격히 빨려들어가게 된겁니다.

왜 2017년에 들어서야 비로소 BTC가 이렇게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는가? 바로 저는 지금까지 각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풀어온 돈이 더 이상 자신들에게 희망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된 사람들이, 새로운 피난처를 찾아 흘러들어온 것이라고 봅니다.

이제 전쟁이 시작될겁니다. 그 열쇠는 우습게도 트럼프가 쥐고 있습니다.

트럼프 집권과 함께 USD 긴축을 주장하던 스탠리 피셔가 사임했죠. 그러나 트럼프가 흔들릴 경우, 연준의 여론은 급격히 뒤집힐거고 제 2의 피셔나 존 테일러 같은 달러 긴축을 주장하는 사람이 오지 않으리란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

연준 기준금리 상승과 달러 긴축의 효과는 우리에게 익숙한 금융위기 시나리오를 낳습니다. 달러 강세와 원화 약세, 그리고 국제적 유동성 감소와 더불어 직면한 달러 부족... 양털 깎기 현상이죠. 이와 함께 바젤3 본격화와 더불어 IFRS9 규제가 실행되면 은행들이 자금을 더 조여야 하게 될 것입니다. 자본이 흡수된다는 공포가 나타날 것이며, USD가 미친듯 강해질 것입니다.

바젤 3 : 자기자본비율 (BIS) 8% 이상, 보통주 자본비율 4.5%, 티어 1 자본비율 6% 이상 준수안입니다.
2013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작동되기 시작합니다

BTC는 이때 한번 큰 고비를 겪을 수 있습니다. 반면, 달러의 부양 정책이 이대로 이어질 경우, BTC 역시 흘러나간 돈이 들어오는 구멍이 되어 엄청난 상승을 겪을 것입니다.

결국 모든건 기승전 USD가 되는 것 같은데, 과연 우리에게, 2018년은 어떤 기회를, 어떤 역경을 줄지 지켜보는 것 또한 흥미로운 일일 겁니다.

한국 투자자 모두에게, 필요한 때를 위한 작은 행운을 기원합니다.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