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yogom 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Nodejs에 대해서 알려드릴 시간입니다. 저도 스팀잇을 시작하면서 처음 다뤄보게 된 언어인데 어떻게 하다보니 이게 편해서 지금도 계속 쓰고 있습니다. 아직 어떤 목표를 가지고 쓸지는 모르겠지만 API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저는 프로그램 전문가가 아니고 비 전문가로써 소개하기 때문에 어려운 내용은 모르기 때문에 어쩌면 쉬울지도 모릅니다 ㅎ
Nodejs는 흔히들 아는 C 계열 언어와는 크게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비동기 기반이라는 점입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 보통 C 계열의 언어는 순차적 실행을 수행하게 끔 되어 있습니다.
예를들자면
function Main (){
Start()
Run()
End()
}
라는 로직을 만들었을 때, C 계열에서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됩니다.
즉, 각 Function 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수행이 됩니다.
하지만 Nodejs 의 경우 다릅니다.
Start()가 끝나기 전에 Run()이 그리고 Run()이 완료되기 전에 End()가 동작을 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처음 Nodejs를 접하시는 분들이 이 부분에서 당황하게 됩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_-a) 이 순서가 왜 중요하냐면 코드로 생각을 해보자면
만약 start에서 초기값이 0이고 최종 결과값이 1~3이라고 했을때,
Start가 최종 결과값을 받기 전에 Run이 동작해버려서 결국 최종값이 아닌 0을 가지고 동작을 해버리게 됩니다. 그러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환장하죠 소스코드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 원하는 값이 나오지 않으니깐요.
하지만 이게 바로 Nodejs의 특징입니다.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요? 그건 이 언어가 웹 구동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인터넷 초창기 시절을 경험하셨었다면 뭔가 로딩이 있을때 화면의 위에서 부터 갱신되는 느낌을 받으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예전 인터넷이 처음 되전 핸드폰들도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갱신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큰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큰 이미지를 처리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다보니 매우 답답한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이게 멈춘것도 아니고 먼가 천천히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이게 되는거죠 하지만 지금 인터넷은 접속하면 여기저기서 파파팍 파파팍 화면이 나옵니다. 이유는 Nodejs 입니다. 비 동기로 여기저기 동작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 빠르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실제로도 빠르겟죠?) 아마 다른 이유도 많이 있겠지만 제가 생각 했을때는 그러한 이유가 크지 않을 까 싶습니다.
따라서 Nodejs는 웹까지 구현을 해야 해당 기능을 다 쓰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웹구현은 잘 모르는 관계로 단순 Steem Api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 생각입니다. 그 부분만 잘 생각하시면 예약 포스팅도 하실 수 있고, 매일매일 같은 시간이 올라가는 포스팅도 만드실 수 있을꺼고, 간단한 보팅봇도 만들실 수 있으실듯 합니다.
그럼 제일 먼저 NodeJs 설치 부터 알아 봅니다. Nodejs 의 설치 방법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LTS 버전의 Window 혹은 본인의 운영체제에 맞도록 받으시면 됩니다. 여기서 LTS라는 것은 Long Term Support 의 약자로 오랜 기간 서포트를 해주는 버전입니다. 보통은 이 LTS 버전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는 최신 버전에서는 일부 라이브러리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유는 모든 버전에서 해당 라이브러리가 테스트 되지는 않기 때문이죠 보통이 LTS 기준으로 테스트가 됩니다. 그러니 가장 안정적인 버전이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LTS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설치는 역시 다음다음다음 클릭을 하시고 설치가 완료되면
위의 콘솔창을 켭니다.
그리고
node -v
를 눌러보면 현재 v14.17.0 버전을 나타내줍니다.
버전을 잘 설치 하셨으면, 오늘은 여기까지~ ㅎ
내일은 스팀 라이브러리 를 설치하고 가장 간단한 api를 호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 참 그리고 이 녀석을 하나 구입했습니다 ㅎㅎ
어디에 쓰는 녀석일까요? 사실 저는 크게 필요는 없지만.... 아마도 Nodejs 를 배운 다른 분들에게는 필요한 제품이 될 것입니다! 저도 처음 사용해 보는 거라 기대가 됩니다 ㅎ
작성 예정인 글 List
- Nodejs 를 이용한 스팀 API 사용해보기
스팀잇 내에서 이모지 사용법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는 글
스팀잇 기본 이야기
- 복잡한 키&패스워드는 그만 손쉬운 로그인 키체인의 사용법
- 계정 옆의 숫자 평판? "reputation" 이란
- [요청] 스팀엔진 사용방법
- 스팀잇 내부 거래 사이트, 마켓
- 오랜만에 스팀잇에 돌아왔더니 로그인이 안됩니다 (Logging in with non-posting key)
- 스팀잇에 기존 사용하던 트론 지갑을 연결하는 방법
- 스팀 체인의 패스워드 / 키의 역활
- [요청] 스팀엔진 Explorer 가 접속이 되지 않아요
- Steemit의 태그 사용법과 커뮤니티스 사용법
- Steemit 프로필 변경 방법
- 스팀파워 임대가 안된다 왜?
- 스팀잇 계정 만들기
- 스팀잇 저장 보상의 종류와 뭐가 좋을지
- 스팀잇 속닥속닥 비밀 메모 사용하기!
- 스팀/스달 입금, 출금 그리고 업비트 이용방법
- 갑자기 steemit 사이트가 접속이 안된다면?
- 스팀잇 내에 붉은 글씨 사용법
- Steem체인의 또하나의 커뮤니티 "zzan"
- Steem체인의 또하나의 커뮤니티 "sct"
- 스팀잇 지갑에 접속이 되지 않을 때
- 스팀잇 글 작성 문법 [마크다운편]
- 스팀잇 글 작성 문법 [HTML]
- 스팀잇 가독성 및 작성을 편하게 해주는 "Steemit.com Enhancer" 툴
스팀잇 심화 이야기
- 스팀의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 하루에 스팀 리워드 풀에 포함되는 스팀은 얼마나 될까?
- 하루에 도대체 어느정도의 스팀은 생성될까요?
- 내가 보팅 했더니 보상이 떨어졌다? 왜?
- 스팀달러가 1달러를 유지하는 방법
- 글이 써지지 않아요 왜? Resource Credits!? Your transaction failed to process
- 스팀잇 에서의 $ 는 USD(미국달러) 인가요?
- 스팀은 DPOS 기반의 블록체인입니다. 그럼 DPOS가 뭔가요?
- 증인에 역활은 무엇일까
- 스팀 증인 노드 세팅하기 1탄
- 스팀 증인 노드 세팅하기 2탄
- Steem Node 정리 (Full node 1편)
- Steem Node 정리 (Full node 2편)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