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과 부, 그리고 붕괴] 결언) 그리고, 밤이 오면(When The Night Comes)


음악과 함께 들어주세요.

우리가 생각했던 부와, 풍요와, 문명이 어느 순간 사라지는 날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전날까지도 우리는 넓은 집과, 풍요로운 여가와, 빨간 스포츠카를 사며 지내왔죠. 1929년 10월 29일, 소위 말하는 검은 화요일이 모든 겨울의 시작이자 모든 꿈의 끝이었습니다.

20년치 연방 정부의 예산이 시장에서 증발했습니다. "주식이 저렇다면 내 예금은 안전할까?" 불안감이 엄습합니다. 예금을 찾으러 몰려듭니다. 10%의 지급 가능한 돈을 가지고 있는 은행들은 뱅크런을 일으키고 파산합니다. 그 와중에, 은행에 빚이 있던 채무자들은 목을 옭죄입니다. 그 사람들은 가진 자산을 강제로 팔 것을 요구당합니다. 압류는 자산 폭락을 가속화합니다.

연쇄 반응의 시작입니다. 경기는 수직낙하하고, 유동성은 줄어듭니다. 실직자가 증가하고, 생산이 줄어듭니다. 미국 인구 1.2억 중 1/4가 실업자가 됩니다.

미국만의 일일까요? 아뇨. 비슷한 일을 우리는 겪은 적이 있습니다.


때로는 도표 하나가 끔찍한 사진보다 더 무서운 법입니다.

바로 1997년 외환위기죠. 재미있는, 아니 섬칫한 이야기 하나 들려드리겠습니다. '도박묵시록 카이지'라는 만화가 있습니다. 최악의 악덕 대기업이라 불리죠. 대출을 상환하지 못한 사람을 죽음과 맞대면하는 위험한 게임판에 밀어넣고 이를 통과하면 살아남게 해 주겠다고 유혹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주인공은 어쩌다보니 늘 살아남습니다만... 늘 다시 함정에 말려드는 것도 능력(?)이더군요

그 만화에 등장하는 연 이자율이 12%입니다. 그런데 이건 아시나요? 국제통화기금은 구제금융의 조건으로 시중 은행의 금리를 29.5%까지, 콜금리는 40% 이상까지 올릴 것을 요구했습니다. 제2금융권, 제3금융권은 더 심했습니다. 60%까지 치솟는 이자율을 막을 수 없었습니다.

이 때 생긴 수많은 대부은행들의 뒤에 일본 야쿠자가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여성을 위한 대출이니, 무과장이니 하는 것들이 뜯어간 수많은 이자들이 죄다 어디로 빨려들어갔는지 감이 오시겠죠. 지금에서야 제3금융권 기준 30% 이하까지 어찌어찌 끌어내렸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멉니다.


1USD는 이후 최대 2200KRW까지 치솟죠.

IMF 경제위기의 원인을 온전히 버블 붕괴로만 보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당시 많은 기업들이 차입 경영을 통해 견실하지 못한 거품 속에서 경영을 하고 있었고, 그 구조가 깨지면서 버블이 터진 효과가 발생한 것은 사실입니다. 한때 백화점계에서 꽤나 이름 날린 뉴코아 백화점은 부채 비율이 1,800%에 가까웠으며, 해태는 1,507%, 아남은 1,275%에 달했죠.

버블이 나타나서 대출이 편해질 때 나타나는 흔한 과잉투자입니다. 그리고 그 고통의 다시 돌아올 징조는 여기저기서 보이고 있습니다. 금리가 역으로 움직이는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양적 완화라는 이름으로 꾸준히 흘려낸 달러들은 갈 길을 찾지 못한 채 자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갔습니다.

실질 소득이 증가하지 않은 채, 자산 버블이 늘어갑니다. 대공황이 발생하기 전과, 1997년 외환 위기가 발생하기 전과 너무나 닮은 꼴입니다.


밀려난 사람들의 판자촌, 대공황기 미국의 '후버빌'의 모습입니다

인류는 지금까지 금융 자본주의라는 시스템 속에서 많은 실패를 거듭해 왔습니다. 어떤 정부는 칭송받았으며, 어떤 정부는 비난받았습니다. 하지만 그건 순수히 정부 탓만이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거부할 수 없는 호황 뒤의 불황이 터진 것이 우연히 그 시점인 것 뿐입니다.

세계 경제는 3가지의 미래를 앞두고 있습니다.

기존의 돈이라는 질서가 파괴될 수 있는 인플레이션의 미래.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서 겨울을 기다릴 디플레이션의 미래.
그리고 다음부터 다룰 강력한 누군가의 개입으로 인한 아슬아슬한 현상 유지의 미래.

인플레이션 시리즈에서는, 인플레이션 시대가 보내는 시장의 신호와 대응책을, 이 글에서는 버블이 터지고 이어질 디플레이션 시대에 대한 대응책을 알아보았습니다. 두 시대 모두 우리의 힘으로는 막을 수 없습니다. 그저 추운 겨울 속에서 하루 하루를 서로의 체온으로 버텨 나가듯,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추운 밤 하루 하루를 이겨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것이 하나 있습니다.

대공황을 겪기 전, 한 정당의 의석 수는 12석에 불과했습니다. 대공황을 겪으면서 단 2년만에 12석의 의원수는 104석이, 다시 2년만에 196석(37%)이라는 압도적인 원내 제 1당에 등극하게 됩니다. 몇몇 사건을 더 겪은 뒤, 우리는 전대미문의 파시스트 독재자를 보았습니다. 아니, 독일은 독일 그들의 손으로 악마를 만들어냅니다.

바로 나치입니다. 일자리, 자유 그리고 빵Arbeit, Freiheit unt Brot이라는 단순하지만 무서운 구호속에 악마는 나타났고, 수많은 사람들은 그 댓가로 피를 흘리게 되었습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2차대전 중 가장 참혹했던 싸움이죠.

집단에 퍼진 공포는 극단적인, 광기어린 선택을 낳습니다. 인플레이션 겨울과는 다른 공포와 혼돈의 겨울 속에서 우리는 이성의 끈을 놓지 않고, 잘 살려 온 온기를 불꽃으로 만들어 주변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공포를 이겨내는 방법이고, 인류가 추운 겨울을 이겨내어 온 방법입니다. 언젠가 겨울이 지나가고, 다시 봄은 찾아오니까요.

이제 마지막 시나리오가 남았습니다. 세 가지의 시나리오는 단지 저라는 한 사람만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양한 미래학자와 경제학자들이 지적하고 있지요. 금융거래의 최첨단이자 최선봉에 선 우리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반드시 이 시나리오를 알고 숨구멍을 만들어 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작은 파문이 일으킬 공포에 숨죽이지 마시고, 큰 흐름 속에서 시장을 바라보시기 바랍니다. 모든 파국에는 이유가 있고, 모든 불황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아직 가을의 온기가 남아있을 때입니다. 마음을 다잡으시고, 언젠가 다가올 겨울을 위해 공포와 걱정을 내려두시기 바랍니다.


바다제비는 첫째 집은 침으로, 둘째 집은 눈물로, 셋째 집은 피눈물로 만든다죠

정신없이 두 번째 연재도 이렇게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연재와는 달리, 이번 연재글은 한편 한편을 쓸 때마다 온 몸에 있는 피를 죄다 토해내는 심정이었습니다. 글을 쓰는 사이에도 작은 공포에, 검증되지 않은 루머에 고통받는 분들을 볼 때마다 너무나 가슴이 아팠고, 암호화폐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 채 자신의 소중한 돈을 날리는 것을 보며 내 일은 아니지만 눈물을 흘렸습니다.

모두에게 저는 아직은 기회의 땅이 열려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반짝이는 것이 모두 금은 아니지만, 진흙탕같아 보이는 이 곳에도 분명 연마되지 않은 다이아몬드는 숨어있을 것입니다. 아니. 숨어있습니다. 여러분이 그 보석을 찾아내는 사람이 될 수 있길, 그리고 경제적 자유를 얻어 겨울을 잘 넘기실 수 있기를 마음 속 깊이 소망하겠습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 행운이, 필요할 때를 위한 그 작은 행운 한 조각이 당신의 마음을 인도하여, 사람들에게 따스한 불씨를 나눌 수 있는 온기가 되기를 기도하고 또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버블과 부, 그리고 붕괴] 지난 글들 바로가기
서문) 좋은 버블, 나쁜 버블, 이상한 버블
1) 빚이 모이면, 거품이 되지요(Bubble, Sum of all Debts)
2) 버블. 인간적인, 너무도 인간적인
3) Pull up! Pull up! Pull up!
4) 버블, 터질 것 같은 오르가즘 (Bubble, Like Blowing Orgasm.)
5) 버블, 그라운드 제로로의 회귀 (Bubble, Returning to Ground-Zero)
6) 버블 붕괴, 그 시기를 알려줄 단서들
7) 버블 붕괴의 날, 경제적 예속 붕괴의 날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43 Comments